재테크상식사전

펀드평가서 쉽게 보는 법

엄지공쥬^^ 2015. 4. 8. 13:40
반응형

펀드평가서 쉽게 보는 법


펀드를 선택할 때 가장 기초가 되는 문서가 바로 펀드 평가서다. 앞서 소개한 천드 평가 사이트에 가면 바로 찾아 볼수 있다.펀드 펑가서에는 과거의 운용수익률과 펀드유혁, 수수료 등 펀드에 대한 정보가 총망라되어 있는데, 문제는 너무 어렵다는 것이다. 각주도 없고 대체 뭘 어떻게 파악해야 할지 난감하기 때문이다.

좀 쉽게 알아보도록 하자. 좋은거다,나쁜거다 정도만 구별해서 판단하기에도 펀드 종류가 너무 많지 않은가,관심가는 펀드가 있으면 다음 내용을 점검해 가면서 펀드 평가서를 감상하기 바란다.




♠ 유형:펀드의 이름에 반드시 '주식','채권','혼합'등을 쓰도록 되어 있다. 유형 파악은 비교적 쉽다.

♠설정일:3년 이상이면 좋다. 그것도 아니라면 1년정도는 넘어야 겠다.

♠기준가:펀드를 사고 파는 기준.펀드가 처음 만들어질 때는 1,000원에서 출발한다. 별로 신경쓸 것이 없다.

♠설정액:너무 크거나(몇조원대)너무 작거나(10억원 미만) 하지만 않으면 된다.

현행법상 펀드 규모가 100억원 미만이면 자산운용사가 고객의 동의 없이 펀드를 해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펀드를 운영하려면 적어도 100억원은 있어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운용사:봐도 모른다. 그냥 알아서 잘하겠지 하고 넘어가라.

♠펀드매니저:다들 학벌 좋고 머리 좋은 사람이라고 믿어라.

♠펀드 보구: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에 주는 수수료다. 이런저런 내역까지 다 보려면 복잡하니,선취형인지 후취형인지만 먼저 파악하라,연 2.5%를 기준으로 그보다 많으면 수수료가 비싸다. 적으면 싸다. 이렇게 파악하면 된다.

♠환매수수료:보통90일 미만 환매시 이익금의 70%를 부과한다. 당장 3개월 내에 환매할 계획이 있는게 아니라면 신경 안써도 된다.

♠판매사:신경쓸 것 없다. 당신에게 펀드 평가서를 보여주고 설명해주는 장소가 판매사다.

♠펀드 등급:별이나 태극마크가 3개 정도 붙은 것부터 좋은 것이다.

♠벤치마크(BM):수익률 목표를 잡을 때 정하는 기준점이다. 보통 종합주가지수인 코스피200지수를 따른다. 이 수치보다 펀드 수익률이 높으면 펀드를 잘 운용했다는 말이다.

♠운용전략:미사여구에 속지마라,그렇게 하고 싶다는 이야기다. 기필코 수익을 내겠다는 다짐에 지나지 않는다.

♠과거 운용성과:참고만 하라.너무 좋았어도 문제도 너무 낮았어도 문제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한 벤치마크보다 꾸준히 좋았다고 하면 좋은 것이다.

♠설정액 그래프: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좋은 펀드다. 혹시 갑자기 확 빠졌다면 그 당시 뭔가 문제가 있었을 거라고 의심해보아야 한다.

기간수익률:참고만 하라.자세히 보면 머리만 아파진다.

표준편차:이건 좀 줌요하다. 수익이 출렁거리는 정도를 뜻하기 때문이다. 정해진 것은 없지만 30%이내면 안정적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베타(β)계수:1보다 크면 벤치마크보다 더 크게 수익이 출렁인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종합주가지수가 10% 변동할 때 펀드의 수익률도 10% 변동한다면 베타는 1이 된다. 그렇다면 베타가 1보다 적으면 좋다는 걸 의미할까? 꼭 그렇지는 않다. 그럴 경우 시장의 변동에 둔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주가성장기에는 다를 펀드들이 높은 수익률을 낼때 해당 펀드만 수익을 못 낼수 있다.

샤프계수:이건 큸록 좋다. 위험대비 초과수익률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