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편도결석 빼는 방법 - 원인과 치료

엄지공쥬^^ 2025. 2. 17. 20:57
반응형

목구멍 안이 답답하거나 뭔가 껴있는 느낌이 많이 든다면 편도 결석을 의심해 볼수 있다.

편도결석이 심한 질환은 아니지만 굉장히 거슬리고 생활하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편도결석 빼는 방법과 원인과 예방법까지 다양하게 알아보자.

 

편도 결석의 원인

편도결석이 한번 생기면 반복적으로 자주 생기는 경우가 많다. 

그 원인은 다양한데 편도염이 주된 원인이 된다.

편도염을 자주 앓는 사람일수록 구멍이 커져 이 사이로 음식물이나 세균 등이 뭉치면서 발생하게 된다.

음식물과 세균이 입 안에 끼게 되고 세균이 번식하면서 편도결석이도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외에도 구강의 위생불량이나 후비루 증상의 경우에도 그 원인이 된다.

편도결석

 

편도결석이란?

입을 벌렸을 때 목젖 양쪽으로 보이는 두툼한 부위를 편도라 말한다.

편도 표면에 작은 구멍에 생기는 분비물 덩어리가 바로 편도결석이다.

그 원인은 위에서도 말했다시피 음식의 찌꺼기나 편도 분비물 등이 세균과 반응하면서 만들어지게 된다.

그 크기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결석이라고 하지만 아주 돌처럼 단단하지는 않아서 손으로 만지면 쉽게 부서지기도 한다.

또 양치질을 해도 입냄새가 고약히 난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해 볼 수 있겠다. 

 

편도결석 빼는방법

어느날 기침을 아주 세게 할때 뭔가 이물질이 나오게 된다. 이때 편도 결석이 나오기도 한다.

또 양치질을 하다가 뱉었는데 먹은 음식물이 아닌 뭔가 이물질이 나오면 이도 목구멍안의 결석이 따라 나오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오지 않고 계속 걸림이 된다면 병원에 가서 압출기로 제거해야 한다.

병원에 가지 않고 편도 결석 빼는 방법

 집에 있는 면봉을 이용해서 짜내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주의할 점은 손이나 면봉을 이용하여 억지로 짜내게 되면 자칫 편도에 상처가 나거나 염증이 생기는 불상사가 있게 되니 안전한 방법을 취하는게 좋겠다. 

병원가서 압출기로 제거하는 방식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가글을 통해 뺄수 있고

워터픽을 사용하면 강한 압력으로 제거가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즉, 자연제거, 기침, 양치질, 구강 세척기, 병원등의 도움을 받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편도결석 예방법

자주 편도결석에 걸리는 사람들은 평소에 물을 자주 마셔주는 것이 좋겠다. 

또 올바른 양치질을 통해서도 입안에 찌꺼기등이 남지 않게 청결을 유지해 줘야 한다.

더불어 폐를 건강하게 해주면 좋은데 등산, 달리기, 자전거타기 등 유산소 운동을 많이 해주면 좋다. 

 

그 외 편도결석의 원인인 후비루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후비루 증상이란?

후비루는코점막이나 부비동에서 발생한 분비물(점액)이 목으로 넘어가면서

점막을 자극하여 일으키는 증상으로 목의 이물감, 헛기침, 목소리의 잠김이나 쉼, 가래, 기침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정상적으로 코와 코 주위의 공기주머니인 부비강에서는 하루에 300에서 600mm의 분비물이 나오게 된다.

이 분비물은 점막을 부드럽게 만들고 이물질을 제거하는역할을 한다.

편도가 부었을 때

원인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감기, 무리한 성대 사용, 과도한 흡연과 음주, 과로나 스트레스, 환절기 때 편도가 붓는다.

 

증상

편도가 일시적으로 부었을 때는 편도가 빨갛게 붓고 침을 삼킬 때 목 속 이물감과 건조함이 느껴진다.

이는 큰 성인도  갑자기 시작되는 고열과 오한이 있을 수 있고 이후에 목이 아픈 증상이 발생하게된다.

편도가 붓게 되면 그 증상으로 인해 감기나 독감의 의심을 하게 되지만 목구멍 안을 꼭 살펴보면 좋다.

 

편도가 부었을 때는 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고, 가습기를 켜고 생활을 하고, 부드러운 음식을 먹고, 아이스크림 섭취는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비인후과에 가서 가글이나 약처방, 주사등을 맞으면 최대한 빨리 낫게 된다.

 

 

#편도결석증상  #편도결석  #편도결석제거  #편도결석치료  #편도결석빼는법  #편도결석자가제거법  #편도결석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