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눈꺼풀 경련 눈떨림증상

엄지공쥬^^ 2013. 1. 25. 23:13
반응형

종종 눈을 깜박이는 것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아마 이러한 상태는 눈꺼풀 경련(눈꺼풀 운동이 통제되지 않는 상태)인지도 모른다. 왜 눈꺼풀 경련이 일어나는지,어떻게 치료를 해야 한는지,그리고 얼마나 많은 이들이 이런 증세로 고통받고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의사들조차 이 병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다. 하지만 점차 눈꺼풀 경련을 이해할 수 있는 흥미로은 단서들을 찾아내는 연구들이 진행중이다. 산 호세에 있는 '산타 클라라 벨리 메디칼 센터'의 신경과장인 존 핫슨 박사는 눈꺼풀 경련이 일어나는 환자들이 사물을 보고,그 움직임을 기억하는 방식에 대해 오랫동안 관찰해 왔다.

 

 

 

핫슨 박사는,이 환자들이 사물의 움직임을 보는 방법을 연구하면 눈꺼풀 경련의 원인을 찾아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한다.만약 박사의 말이 맞다면 그의 연구는 진단 기술을 한층 계발시키고 이런 기이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삶을 되돌려 놓을 수 있을 것이다.

눈은 보통 몇 초만에 한번씩 가볍고 빠르게 깜박이기 때문에 사물을 보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다. 자극이나 경련으로 눈꺼풀을 실룩이거나 감을 때 매우 힘들어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눈꺼풀 경련 환자들은 그와는 다른 경련으로 고통을 받는다. 그들은 눈썹이 아래로 당기고 눈꺼풀은 뒤틀리며 감을 때는 '철썩'하고 무겁게 감긴다. 그리고 시간이 갈수록 다른 부위에까지 경련이 확장된다. 턱은 꽉 다물어지고 얼굴 전체가 실룩거리고 목은 죄여서 고통스럽다. 이런 환자들은 때로 정신적인 이상이 있는 것으로 오해를 받기도 한다. 하지만 핫슨 박사와 같은 눈꺼풀 경련 전문가들은 이 질환이 정신적인 것이 아니라 신체적 결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박사의 연구를 통해서 확증되었다. 핫슨박사의 연구에서 환자들은 성격도 다른 사람과 다를 바 없이 전형적이었고 심리 테스트에서도 정상적으로 나타난 것이다.

더욱이 이 질환의 증세가 파킨슨 씨 병을 앓는 환자들과 비슷하다고 한다.

요즘은 눈꺼풀 경련을 완화할 수 있는 두가지 수술이 있다. 하나는 귀옆을 절개해서 이마를 끌러내어 눈꺼풀 운동을 조절하는 신경가지를 잘라주는 것이다.

 

이 수술은 매우 정교해야 하고 종종 상처가 보기 흉하게 되기도 한다.

두번째는 더 일반적인 방법인데 윗눈꺼풀 주위의 압착 근육을 수술로 제거하는 것이다.

 

흥이롭게도 많은 눈꺼풀 경련 환자들은 실험적으로 보툴리눔 독소를 주사하는데 의존하고 있다. -이것은 보툴리즘의 원인이 되는 독소와 같다. 전세계적으로 약 300여 명의 의사들이 이러한 칠법을 사용하고 있다.

환자들이 이 주사를 눈꺼풀과 눈썹에 연속저긍로 맞으면 근육이 마비되어 경련이 덜하긴 하지만 몇 달만 지나면 약효가 떨어져서 다시 주사를 맞아야 한다.

핫슨 박사는 더 오래 지속되는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그 첫 단계로 눈꺼풀 경련의 원인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눈꺼풀이 무겁게 깜박이는 원인을 신경세포들 간에 상호작용이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이론을 세웠다.

 

박사는 뇌의 기저핵(운동으로 조절하는 주센터)의 세포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에는 눈꺼풀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저핵의 경로에 언인이 있다는 데에 박사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핫슨 박사에 의하면 이 연구는 비정상적인 경로가 사람의 운동과 기억력을 방해할 수도 잇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한다. 예를 들어,일반 사람들은 컴퓨터 화면상에서 점 하나가 갑자기 지나가는 것을 볼 수 있고 그 방향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다. 그러나 뇌 질환이 있는 사람들과 눈꺼풀 경련 환자들은 점의 동선을 정확하게 추적하지 못한다고 한다.

 

핫슨 박사는 현재 환자들이 어두운 화면 위에서 이리저리 움직이는 점들을 주시하는 것을 관찰하고 있다. 도표상에 나타난 그들의 속도와 정확성이 면밀하게 조사된다. 이 연구는 확실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최소한 몇 년은 더 걸릴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원인을 알게 되는 것은 그 후가 될것이다.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복용방법  (0) 2012.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