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레시피 10

굴이냐 석화냐? 재밌는 이야기

12월 1월 추운 눈오는 겨울철이 되면 어김없이 여기저기 싼 굴을 판매하고 맛볼수 있다.굴은 추워질수록 맛이 기가막히다. 날씨가 추워지면 굴의 독성물질이 사라지고 통통하게 살이 오르기 때문이다.[자산어보] 에서는 굴을 모려(牡蠣)로 소개하고 속명을 굴(掘) 이라고 되어있다. 이외에도 여러 표현이 있는데 바위에 붙어있는 꽃과 같다고 해서 석화(石花), 돌로 새긴 화려한 꽃무늬라고 해서 석화(石華)라고도 한다.또하나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조선 명종때 뛰어난 진묵대사는 망해사에 있을 때 곡식이 떨어지면 해산물들을 채취해서 허기를 채우곤 했다고 한다. 아느날 하루는 배가 너무 고파 바위 위에 붙은 굴을 따서 먹는데 지나가던 사람이 "어찌 중이 육식을 합니까?" 며 시비를 걸었다고 한다.그러자 진묵대사는 "이것..

행복레시피 2025.02.08

담양 가마솥뚜껑에 삼겹살 구워먹기

담양 가마솥뚜껑에 삼겹살 구워먹기 주말에 화순에가서 드라이브하고 담양 친정집에 가서 고기꿔먹었다. 삼시세끼 가마솥뚜껑이 탐나던차 집에 놀러 오셨던 아저씨께 가마솥뚜껑에 고기꿔먹고 싶더라고 하니 집에 있단다. 바로 마을로 가시더니 솥뚜껑하나 가져오셨다 ​ 제법 그럴싸하게 불땔아궁이도 순식간에 만들었다 ㅎㅎ 그사이 엄마가키우는 텃밭에서 열무랑배춧잎을 뜯었다. ​ 이것이 바로 자연이다!!캬~~^^ ​ 불도살리고 살리고~~ 제법그럴싸 하다 ​ ​ 주변 모양안맞는 나무의자들 주워와 앉고 삼겹살 지글지글 정말 이것이 바로 삼시새끼!!!!​​ 시원한바깓바람에 맥주가 참달더라~♥

행복레시피 2015.06.08

다시마 손질시 칼로 자르면 맛이 떨어진다.

다시마 손질시 칼로 자르면 맛이 떨어진다. 다시마는 칼로 자르면 맛이 떨어지는 이상한 음식재료입니다. 왜그럴까요? 다시마가 쇠붙이를 싫어하기 때문입니다. ㅎㅎ 다시마를 칼이나 가위로 자르면 쇠 냄새게 배고 맙니다. 따라서 그냥 손으로 찢는것이 더 좋습니다. 또 손으로 찢어야 편의 표면적이 솥에 놓고 끓일때 맛이 더 잘 우러나옵니다. 주부님들 참고 하세요~ 찢긴 자리가 들쑥 날쑥한 만큼 표면적이 훨씬 커지는 것입니다. 또 하나 손으로 찢어야 혀에 닿는 감촉도 더 좋겠죠?

행복레시피 2015.06.02

술상무들이 애용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법

술상무들이 애용하는 숙취 예방 및 해소법 물을 자주 섭취하면 물배가 차서 술을 적게 마실 수 있고 음주 후의 탈수도 예방함 음식 섭취 후 음주하면 알코올이 몸에 훨씬 적게 흡수되는 효과가 있음 음주 다음날 아침에 보리차, 생수, 저지방 우유, 채소주스 등으로 충분히 섭취 사과나 딸기,감귤, 키위로 만든 주스나 꿀물을 마시면 음주로 떨어진 혈당 조절 녹차:항산화 성분인 카테킨이 수취의 주범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 촉진 숙취해소 음료인 칡차나 칡즙, 유자차를 충분히 섭취 해장국으로는 콩나물국, 북엇국, 조갯국, 미역국, 선짓국을 추천 비타민, 미네랄, 과당, 유기산이 풍부한 귤과 감, 사과를 섭취?

행복레시피 2015.04.21

아카데미상 최다 수상자

아카데미상 최다 수상자 아카테미상은 전체계 영화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타고 싶어하는 명예로운 상이다. 미국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 주관으로 1929년부터 해마다 시상식을 열고 전년도에 발표된 영화 가운데 가장 훌륭한 작품,가장좋은 연기를 선보인 배우들에게 '오스카'라는 트로피를 주고 있다. 그래서 아카데미상을 '오스카상'이라고도 부른다. 아카데미 회원들의 투표로 결정된 수상자에게는 아카데미 회원 자격이 부여되기도 한다. 2009년 현재까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오스카 트로피를 가장 많이 받은 사람은 월트 디즈니다. 총 32개나 받은거다. 배우 중 1위는 캐서린 햅번으로 약 4번이나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역대 최연소 수상자는 테이텀 오닐이다. 1974년 영화 으로 여우조연상을 받앗을 때 오닐의 나이는 고작 10..

행복레시피 2015.02.07

요리사 높은 모자

요리사 높은 모자 요리사는 왜 불편한 높은 모자를 쓸까? 18세기 말경 프랑스의 당대 최고의 요리사인 안토난카렘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밤,그의 요리를 먹으러 온 손님중에 키 높은 하얀 모자를 쓴 사람이 있었는데,그것을 본 안토난은 그 모습이 멋져 보여 주방에서 일하면서 그것과 똑같은 모자를 쓰기 시작했다. 최고의 요리사가 쓴 높은 모자는 그 후 요리사들의 심벌이 되었다. 실력과 경력이 높은 사람은 점점 더 높은 것을 쓰게 되었는데 최고 35센티나 되는 것도 있었다. 이런 모자 때문에 프랑스에서는 요리사를 가리켜 '그랑보네'(커다란 모자)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키 작은 요리사들이 좀더 커 보이게 하기 위해 모자를 쓰기 시작했다고 하는 설도 있다. 요리사들이 목에 감는 하얀 스카프는 원래 최고 요리..

행복레시피 2015.01.10

곶감에 묻은 하얀가루

곶감에 묻은 하얀가루 곶감에 묻어 있는 하얀 가루는 곶감이 스스로 만들어낸 당분이다. 곶감은 적당한 온도와 습도가 있고 바람이 통하는 곳에서 말린다. 감을 말리면 감의 수분이 다 빠져 나가면서 속에 있던 당분이 표면으로 나와 슈거파우더처럼 하얀 결정체를 이루게 된다. 곶감의 겉에 흰색 가루가 생기기 시작하면 곶감이 다 만들어졌다는 신호이다. 포도 역시 잘 익으면 겉에 하얗게 당분이 생긴다. 손가락으로 그 하얀 가루만 찍어서 먹어도 단맛이 나다. 이 당분은 몸에도 좋다. ?

행복레시피 2015.01.04

밥 지을때 요리법-1탄

밥 지을때 요리법-1탄 1.묵은쌀로 밥을 지을때 식초를 쓰면 햅쌀처럼 신선해집니다^^ 묵은쌀로 밥을 지을때,식초를 한 방울 떨어뜨린 물로 쌀을 씻어서 밥을 지으면 밥맛이 더 좋아진다 2.오래된 밥을 새 밥처럼 먹을수 있는 비법!! 소금과 청주를 1큰술씩 뿌려서 밥을 데우면 새로 지은 밥처럼 윤기가 흐르고 맛이 더 좋아진다. 3. 탄밥 냄새는 밥위세 숯을 놓아 제거합니다. 밥이 타면 탄 냄새가 밥 전체에 퍼지게 된다. 이럴때 야외용 나무 도시락 두껑이나 깨끗한 종이 한 장을 밥 위에 얹고 거기에 숯 한두 덩이를 놓고 뚜껑을 닫아 두면 탄 냄새가 감쪽갖이 없어진다. 4.찬밥을 끓여 먹을때 물에 헹구면 끈기가 유지됩니다~ 오래된 밥은 꼬들꼬들하기 때문에 잘 씹히지 않고 맛도 없다. 이럴 경우 흔히 물을 넣어 ..

행복레시피 2014.12.14

라면면발의 비밀,즉석비빔면의 비밀

라면면발의 비밀,즉석비빔면의 비밀 요즈음 라면은 간편한 대체 식품이 아니라 독자적인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얼큰한 맛으로 오랜 세월 사랑받아 온 안성탕면에서부터 면발을 가늘게 한 컵라면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도 무척이나 다양하다. 그러나 한가지 변하지 않는 것이 있으니 바로 면발의 모양이다. 라면의 면발 굵기나 수프의 맛은 달라져도 꼬불꼬불한 모양은 그대로인 것이다. 왜그럴까? 그 이유는 라면의 탄생에서 찾을 수 있다. -라면의 탄생- 1958년 일본 오사카의 안도 시로후쿠라는 사업가는 튀김집에서 국수를 튀기면 나중에 빨리 먹을 수 있을 거라고 착안했는데, 그 원리가 바로 꼬불꼬불한 데 있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밀가루를 국수로 만들어 기름에 튀기면 국수 속의 수분은 증발하고 국수는 익으면서 속에 구멍이..

행복레시피 2013.01.28
반응형